git reset2 [Git] Git의 3가지 공간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Repository Git의 3가지 공간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Repository Working directory untracked: Add된 적 없는 파일, ignore 된 파일 tracked: Add된 적 있고 변경내역이 있는 파일 git add 명령어로 Staging area로 이동 tracked가 된다는 건, Git의 관리대상에 정식으로 등록됨을 의미합니다. 새로 추가되는 파일은 반드시 add해줌으로써, 해당 파일이 tracked될 것임을 명시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Git이 새 파일들을 무조건 다 관리해버리는 것을 방지) Staging area 커밋을 위한 준비 단계 예시: 작업을 위해 선택된 파일들 git commit 명령어로 repository로 이동 Repository.. 2023. 8. 15. [Git] Git에서 과거로 돌아가는 두 방식 - revert / reset Git에서 과거로 돌아가는 두 방식 reset :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간 뒤 이후 내역들을 지웁니다. revert : 되돌리기 원하는 시점의 커밋을 거꾸로 실행합니다. > 실무에서 내역을 삭제하지 않고 히스토리를 남겨야할 경우에는 revert를 주로 사용함. 1. 명령어로 커밋 내역 확인 git log 2. reset 사용해서 과거로 돌아가기 git reset --hard (돌아갈 커밋 해시) > (돌아갈 커밋 해시) 없이 git reset --hard 만 입력하면 마지막 커밋 버전으로 돌아감. 3. revert 로 과거의 커밋 되돌리기 git revert (되돌릴 커밋 해시) 4. 커밋하지 않고 revert하기 git revert --no-commit (되돌릴 커밋 해시) > (추가내용) 일반적으로 실.. 2023. 8.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