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에서 과거로 돌아가는 두 방식
- reset :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간 뒤 이후 내역들을 지웁니다.
- revert : 되돌리기 원하는 시점의 커밋을 거꾸로 실행합니다.
> 실무에서 내역을 삭제하지 않고 히스토리를 남겨야할 경우에는 revert를 주로 사용함.
1. 명령어로 커밋 내역 확인
git log
2. reset 사용해서 과거로 돌아가기
git reset --hard (돌아갈 커밋 해시)
> (돌아갈 커밋 해시) 없이 git reset --hard 만 입력하면 마지막 커밋 버전으로 돌아감.
3. revert 로 과거의 커밋 되돌리기
git revert (되돌릴 커밋 해시)
4. 커밋하지 않고 revert하기
git revert --no-commit (되돌릴 커밋 해시)
> (추가내용)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되돌릴 소스로 revert 한 다음 추가 반영될 소스까지 합쳐서 커밋함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Branch 생성/이동/삭제 (0) | 2023.08.09 |
---|---|
[Git] Git Revert 충돌 GUI에서 해결하는 방법 (0) | 2023.08.09 |
[Git] .gitignore - Git 관리에서 특정 파일/폴더를 배제 (0) | 2023.08.09 |
[Git] Git 최초 설정 (0) | 2023.08.09 |
[Git] 제대로 파는 Git & GitHub 스터디 시작 (0) | 202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