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restore2

[Git] 커밋하지 않은 변경사항 되돌리기 git restore git restore 특정 파일을 지정된 상태로 복구 파일 여러 개를 수정하고 아래 명령어들 사용해보기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 nothing to commit, working tree clean) (local modified -> 원복) git restore (파일명) 워킹 디렉토리의 특정 파일 복구 파일명 자리에 . : 모든 파일 복구 (추가) git restore로 변경된 로컬의 수정했던내용을 restore후 다시 수정내용으로 돌리고 싶을 때 Ctrl + z으로 원복할 수 있다. 변경상태를 스테이지에서 워킹 디렉토리로 돌려놓기 (Changes to be committed ->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상태로 변경) (git add ->.. 2023. 9. 4.
[Git] Git의 3가지 공간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Repository Git의 3가지 공간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Repository Working directory untracked: Add된 적 없는 파일, ignore 된 파일 tracked: Add된 적 있고 변경내역이 있는 파일 git add 명령어로 Staging area로 이동 tracked가 된다는 건, Git의 관리대상에 정식으로 등록됨을 의미합니다. 새로 추가되는 파일은 반드시 add해줌으로써, 해당 파일이 tracked될 것임을 명시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Git이 새 파일들을 무조건 다 관리해버리는 것을 방지) Staging area 커밋을 위한 준비 단계 예시: 작업을 위해 선택된 파일들 git commit 명령어로 repository로 이동 Repository.. 2023.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