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pringBoot

[SpringBoot] 서비스 구조

by 설총이 2023. 7. 25.

Spring Boot 서비스 구조

 

1. Entity(Domain)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1:1로 매핑
이 클래스의 필드는 각 테이블의 컬럼을 의미

2. Repository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Service <-> DB를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CRUD(Create/Read/Update/Delete) 를 정의

3. DAO (Data Access Object)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객체
Service<-> DB에 연결하는 역할

4. DTO (Data Transfer Object)
DTO는 VO로 불리기도 하며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를 의미

5. VO (Value Object)
Read Only의 개념

(추가내용) DTO와 VO 와의 차이점에 대해 나름의 정의는
실무에서 API간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와 DB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 DTO를 사용함
VO는 API, DB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추가가공해야할 때 DTO에서 받아온 VO로 별도 제어하였음
ex1) 우편번호, 일반주소, 상세주소 -> DB는 별도의 필드로 관리하고 하나의 문자열로 합칠 때
ex2) 010, 1234, 1234 -> 핸드폰번호 별도의 필드로 관리하고 010-1234-1234 문자를 치환할 때

 

'JAVA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Logback 설정  (0) 2023.07.27
[SpringBoot] (Chapter1) ORM, JPA, Spring Data JPA  (0) 2023.07.26
[SpringBoot] Lombok  (0) 2023.07.25
[SpringBoot] Swagger 설정  (0) 2023.07.25
[2023.07.24] IntelliJ - SpringBoot 스터디 시작  (0) 2023.07.24